동해항 (동해시)
Korea (South) /
Kangwon /
Tonghae /
동해시
World
/ Korea (South)
/ Kangwon
/ Tonghae
세계 / 대한민국 /
seaport (en), wharf (en)
강원 동해시
북평항이라고도 함.
입지조건상 천연항이 아니라 인공 굴입항(掘入港)으로 항내수면적(港內水面積) 100만 ㎡를 보유한 항만법상의 1종항이다. 영동지방의 풍부한 지하자원의 개발촉진, 임해공업단지 조성에 따른 지원과 관광지 개발에 따른 국제교류 확대 등을 목적으로 1974년 4월 22일 1종항으로 지정되었다. 1974년부터 남북 방파제 축조공사를 착수, 1976년 3월 일본 경제협력기금(OECF)과의 차관협정체결로 공사가 본격화되어 1980년 11월 14일 1단계 사업이 완료되었다.
주요항만시설은 접안시설로서 북부두 ·남부두 ·일반부두에 안벽 1,625 m, 물량장 200 m가 있으며, 외곽시설로는 방파제 2,260 m, 호안 3,114 m가 있다. 3만 t급 대형선박 4척과 5천~1만 t급 선박 5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다. 하역능력은 연간 891만 t이며, 주요취급화물은 수입화물인 무연탄 ·유연탄, 기타 광석 ·기계류 등이 취급되고 수출화물은 유류 ·시멘트, 기타 화물 등이 연안 화물로 취급되고 있다
북평항이라고도 함.
입지조건상 천연항이 아니라 인공 굴입항(掘入港)으로 항내수면적(港內水面積) 100만 ㎡를 보유한 항만법상의 1종항이다. 영동지방의 풍부한 지하자원의 개발촉진, 임해공업단지 조성에 따른 지원과 관광지 개발에 따른 국제교류 확대 등을 목적으로 1974년 4월 22일 1종항으로 지정되었다. 1974년부터 남북 방파제 축조공사를 착수, 1976년 3월 일본 경제협력기금(OECF)과의 차관협정체결로 공사가 본격화되어 1980년 11월 14일 1단계 사업이 완료되었다.
주요항만시설은 접안시설로서 북부두 ·남부두 ·일반부두에 안벽 1,625 m, 물량장 200 m가 있으며, 외곽시설로는 방파제 2,260 m, 호안 3,114 m가 있다. 3만 t급 대형선박 4척과 5천~1만 t급 선박 5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다. 하역능력은 연간 891만 t이며, 주요취급화물은 수입화물인 무연탄 ·유연탄, 기타 광석 ·기계류 등이 취급되고 수출화물은 유류 ·시멘트, 기타 화물 등이 연안 화물로 취급되고 있다
Nearby cities:
좌표: 37°29'31"N 129°7'59"E
- 호산항 38 km
- 평택항 212 km
- 경인아라뱃길 인천터미널 224 km
- 인천항 남항 224 km
- 인천항만 224 km
- 한국동서발전 당진발전본부 238 km
- 원산시 (元山市) 261 km
- 문천시 (文川市) 273 km
- 琵琶串 (비파곶 북괴 해군기지) 386 km
- 조선인민군 해군 제164군부대 486 km
- 북평 공업단지 1.5 km
- 묵호 6.3 km
- 삼척 봉황산 7.1 km
- 쌍용시멘트 동해공장 7.1 km
- 망상해수욕장 11 km
- 두타산 12 km
- 상월산 12 km
- 옥계면 15 km
- 한라라파즈 시멘트 옥계공장 15 km
- 옥계해수욕장 18 km